불탑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17 12:13
본문
Download : 불탑.hwp
⑥ 옥개석 상면의 낙수면은 급격하지 않고 처마의 곡선 또한 거의 수평이다가 우동마루의 합각에 이르러 약간 반전한다.
④ 각층 기단의 중석 즉, 하대중석 상대중석에는 탱주를 모각하는데, 하대에는 2~3, 상대 는 2개씩을 각출한다.
(3) 통일 신라식 석탑
① 기단부는 2층 기단을 이룬다.,공학기술,레포트





레포트/공학기술
순서
불탑
Download : 불탑.hwp( 85 )
불탑
설명
불탑 , 불탑공학기술레포트 ,
(1) 백제식 탑
① 작고 낮은 2층 기단 위에 기둥이 배불림(entasis)으로 도리, 창방, 평방, 공포와 유사한 건축물의 형식으로 표현된다
② 옥개석은 길고 넓은 평판석이며 끝에 가서야 약간 반전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아
③ 옥개석 추녀마루는 기와를 얹은 것처럼 두툼하게 나타나고 있다아
④ 일반적으로 기단부의 폭(최대폭)에 비해 1층 옥개석의 폭이 더 넓으며 또 옥개석 상면 에 별석으로 1단의 방형석재를 삽입하고 있다아
(2) 신라식 석탑
① 모전석탑으로 높은 단층기단과 탑신에 감실 표현이 있다아
② 옥개석 상·하에는 모두 들쑥날쑥한 층급이 있는 특징이 보인다.
② 갑석은 상·하층 기단마다에 두고 상층기단 갑석의 하면에는 직각을 이룬 1단의 부연 을 각출한다.
(4) 고려 시대 석탑
① 기단부에서 2층 기단인 것이 단층으로 줄어든 예가 있다아
② 상대갑석의 각형 1단의 부연이 직각인 경우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없어졌거 나 또는 호형으로 변하며 어떤 경우는 부연이 매우 두꺼워지고 있다아
③ 상·하대 갑석상면의 괴임대가 2단의 각형이 아니라 호각호형의 3단이 나타나고 있다아
④ 기단부에서의 탱주수가 2~3개에서 1개로 줄어든다. 설사 2층 기단의 예가 남아 있는 경우에서도 상·하 대중석의 탱주수는 1개인 예가 고수된다
⑤ 옥개석 하면의 층급 받침은 5단에서 4단 또는 3단으로 줄어들며, 때에 따라서 는 6단의 경우도 있다아
⑥…(생략(省略))
다.
③ 상·하 갑석상면 중앙에는 2단의 각형 또는 호각형의 괴임대를 둔다.
⑤ 탑신부에서의 각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5단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