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기타] 상처 감염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03 05:16
본문
Download : 상처 감염.hwp
순서
분류
Download : 상처 감염.hwp( 87 )
분류
삽입
심와부 감염
수술 후 30일 이내에 생긴 감염





다음 중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이다.
피부와 피하조직의 절개부위감염
피부절개부위에서의 농성배액(절개부위가 아닌 봉합사 부위의 농양은 수술 상처 감염이 아니라 피부감염이다)
[기타] 상처 감염
표재성 감염
레포트 > 기타
심와부 수술 상처 감염
창상 부위의 배양에서 음성이 아니면서(미생물 배양검사가 의뢰되지 않았거나 양성으로 판정된 경우), 절개부위의 통증이나 압통, 국소적인 부종, 열감이나 발적 등의 감염증상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있고, 외과의가 창상을 개방한 경우
상처 감염
설명
표재성 수술 상처 감염(절개부위의 감염)
기관이나 강(organ/space)의 감염
피부 절개부위에서 무균적으로 채취한 조직이나 체액의 배양에서 균이 분리된 경우
상처 감염
상처 감염
분류
다.
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후 수술 부위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.